논밭에서 일하시는 부모님, 괜찮으신가요? 매년 가을이면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쯔쯔가무시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특히,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시기에는 쯔쯔가무시병과 열사병 같은 감염병과 온열질환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두 질환은 고열, 두통, 근육통 등 초기 증상이 유사해 헷갈리기 쉽지만, 발병 원인과 치료 방법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구분과 조기 대응이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쯔쯔가무시병과 열사병의 원인, 증상, 예방법, 치료법을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특히, 고령자나 야외 활동이 잦은 분들이 계신 가정이라면 꼭 끝까지 읽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쯔쯔가무시병이란
원인 및 계절
쯔쯔가무시병은 진드기의 일종인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리케차라는 세균에 의해 유발됩니다. 주로 가을철(9~11월)에 발생하며, 특히, 농촌이나 산림지역에서 일하거나 등산, 벌초, 야외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흔하게 나타납니다.
주요 증상
오한, 발진,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특히, 야외 활동 후 1~2주 내 발생하는 고열, 림프절 부종이 발생하며, 무엇보다도 검은 딱지가 생긴 물린 자국(가피)이 특징입니다. 가피는 보통 복부, 허벅지 안쪽, 겨드랑이, 음부 등에 생깁니다.
치료 방법
쯔쯔가무시병은 감염성 질환이기 때문에 독시사이클린 등의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며, 조기 진단이 늦어질 경우 패혈증으로 진행, 중증으로 발전하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험 질환입니다.
예방 방법
쯔쯔가무시병 예방을 위해서는 야외 활동 시 긴팔, 긴바지 착용과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염성이 있기 때문에 작업 후에는 즉시 샤워하고, 의복은 고온에서 세탁해야 합니다.
열사병이란?
원인 및 계절
열사병은 고온 환경에서 체온 조절 기능이 망가지며 체내 열이 축적되는 응급질환입니다. 주로 여름철(6~8월)에 발생하며,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장시간 노출되는 노약자, 어린이, 야외 근로자에게서 자주 보고됩니다.
주요 증상 및 치료 방법
두통, 경련, 어지러움,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짧은 시간 내 발생하는 40도 이상의 고열, 의식 저하, 땀이 멈추는 것이 특징입니다.
치료 방법
열사병은 감염이 아닌 온도 이상 반응이므로 응급 처치와 냉각이 우선이며, 수액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가 늦어질 경우 장기 손상, 혼수상태,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응급처치와 빠른 병원 이송이 중요합니다.
예방 방법
열사병 예방을 위해서는 폭염 시 무리한 활동을 삼가고, 수분을 자주 섭취, 통풍이 잘 되는 옷을 입으며 직사광선을 피해 휴식을 충분히 취해야 합니다.
쯔쯔가무시병 vs 열사병 비교표
쯔쯔가무시병 | 열사병 | |
원인 | 털진드기 유충 감염 |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 |
원인균/기전 | 리케차 감염(전염성) | 체온 조절 기능 이상(비전염성) |
계절 | 가을철(9~11월) | 여름철(6~8월) |
주요 증상 | 1~2주 후 고열, 림프절 부음, 가피, 발진, 오한 등 | 즉각 고열, 의식 저하, 무한증, 두통, 경련 등 |
치료 방법 | 항생제 투여(독시사이클린 등) | 체온 강하, 응급처치, 수액 치료 |
예방 방법 | 야외 작업 시 보호복 착용, 진드기 차단, 작업 후 즉시 사워, 의복 고온 세탁 | 수분 섭취, 직사광선 피하기, 휴식 |
쯔쯔가무시병과 열사병은 증상 초기에는 유사하지만, 원인과 치료 방법이 전혀 다른 질환입니다. 특히, 고령자, 농촌 거주자, 야외 활동이 많은 분들은 사전 예방과 빠른 인지가 생명을 지킬 수 있는 핵심입니다. 논밭에서 일하는 우리 부모님, 조부모님을 위해서라도 꼭 이 정보를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예방에 좋은 음식 식재료 15가지 (0) | 2025.04.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