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동상이몽(同牀異夢) 뜻, 유래, 예문, 반대말, 유의어

by 멍니스

"한 마음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동상이몽이구나."

가족끼리 외식하자고 해놓고, 한 사람은 고기집을 생각하고 다른 사람은 파스타를 떠올리는 상황. 같이 영화 보자고 했는데, 한쪽은 로맨스를, 다른 쪽은 액션을 고르고 있고요.

분명 함께하자고 시작했지만, 정작 마음은 전혀 다른 곳을 향하고 있죠. 그렇게 같은 자리에 있어도, 마음이 엇갈리는 순간. 바로 그럴 때 쓰는 말이 '동상이몽(同牀異夢)'입니다.

 

썸네일


이 글에서는 동상이몽의 정확한 뜻, 유래, 실생활 예문, 반대말, 유의어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동상이몽 뜻

'동상이몽(同牀異夢)'은 한자로 같을 동(同), 평상 상(牀), 다를 이(異), 꿈 몽(夢)으로, '같은 침상에서 자면서도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입니다. 동상이몽은 겉보기에는 같은 상황이나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속마음이나 생각이 전혀 다른 상태를 말합니다.

 

유래

동상이몽은 중국 고전 남제서(南齊書)에서 유래한 말로, 실제 역사적 인물인 왕경(王敬)의 일화에서 유래했습니다.

왕경이 정치적 입장 차이로 친구와 의견이 갈리자, 친구가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가 같은 침상에서 자면서도 서로 다른 꿈을 꾸는 것이 아니냐?" 이 말이 바로 오늘날의 동상이몽이라는 사자성어로 전해지게 된 것이죠.

고대에는 동상이몽이 주로 동맹이나 혼인, 계약 관계에서 겉으론 하나지만 속은 전혀 다른 상황을 설명할 때 인용되었습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는 그 사용 범위가 더 넓어졌습니다. 부부 간의 갈등, 친구 관계의 불일치, 조직 내 불협화음, 정치적 이견, 프로젝트 팀워크 붕괴겉과 속이 따로 노는 다양한 상황에서 동상이몽은 핵심을 찌르는 말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문

동상이몽은 겉과 속이 다른 관계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는 대표적 사자성어입니다. 다음은 일상과 사회 전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용 예문입니다.

  • 같은 목표로 시작했지만, 결국 우리는 동상이몽이었다.
  • 그 부부는 겉보기엔 평화로워 보이지만, 사실은 동상이몽이라고 한다.
  • 정치인들이 국민을 위한다면서도 서로 다른 방향을 보고 있으니 완전 동상이몽이지.
  • 우리 팀 프로젝트는 처음부터 동상이몽이었어. 의견이 하나로 모인 적이 없어.

한자한자

 

이처럼 의사소통 부재, 관심사 불일치, 가치관의 차이가 드러나는 상황에서 동상이몽은 매우 적절한 표현입니다. 관계가 가까울수록 동상이몽의 발생 가능성도 높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동상이몽 반의어

동상이몽의 반대 상황을 나타내는 사자성어는 겉과 속이 모두 같은 상태, 즉 진정한 협력, 공감, 일체감을 의미하는 표현들입니다.

  • 이심전심(以心傳心): 말없이도 마음이 서로 통함. 깊은 공감대를 형성한 관계.
  • 동심동덕(同心同德): 마음과 뜻을 함께 함. 완전한 일체감과 협력의 상징.
  • 수어지교(水魚之交): 물과 물고기의 관계처럼 떨어질 수 없는 친밀함. 일심동체 관계를 비유.
  • 이구동성(異口同聲): 입은 다르지만 말은 같음. 의견이 일치함을 뜻함.

이 사자성어들은 진짜 관계, 진심의 소통, 공동의 목표를 공유하는 관계에서 쓰이며, 동상이몽의 반대 의미로 문맥상 완벽하게 대응됩니다.

 

동상이몽 유의어

동상이몽과 유사한 상황을 표현하는 다른 사자성어들도 있습니다. 

  • 표리부동(表裏不同): 겉과 속이 다름.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음.
  • 이중인격(二重人格): 내면과 외면이 다르게 작동하는 성격을 비유.
  • 양두구육(羊頭狗肉): 겉은 훌륭해 보이나 실제는 그렇지 않음.
  • 면종복배(面從腹背): 겉으론 복종하나 속으론 반항함. 진심 없는 복종 관계.
  • 구밀복검(口蜜腹劍): 입으로는 달콤한 말을 하지만 속엔 칼을 숨김. 이중적인 태도.

이 사자성어들은 모두 표현 방식이나 상황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겉과 속이 다름, 신뢰 부족, 관계의 불일치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동상이몽과 유의어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끝맺음

동상이몽은 단순히 생각이 다르다는 것을 넘어서, 의사소통과 신뢰의 단절을 상징합니다. 겉으론 함께하는 것 같지만, 속으로는 각자 다른 방향을 바라볼 때 이 사자성어는 강력한 경고가 됩니다.

진짜 관계란 같은 자리에 누운 것이 아니라, 같은 꿈을 꾸고,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임을 다시금 생각하게 합니다.

 

 

👇 관련 글 모음

우유부단(優柔不斷) ⭐

수처작주(隨處作主) ⭐